TV 수신료 자동 출금 해지 | 2025년 최신 절차 가이드

매달 빠져나가는 2,500원, 단순히 자동이체만 해지하면 끝난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자동 출금 해지 ≠ 납부 중지입니다. 2025년 11월부터는 전기요금과 통합 고지가 다시 시작될 예정이라 지금 확인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가산금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아래 버튼을 눌러 해지·면제·미소지 신고 절차를 공식 안내에서 확인하고 온라인 경로로 이동하세요.

KBS 해지·면제 신청

자동 출금 해지 절차

전기요금과 함께 빠져나간다면 한전 고객센터(123) 또는 사이버지점에서 변경해야 합니다.
분리 납부 상태라면 KBS 수신료 콜센터(1588-1801)에서 자동이체 해지가 가능합니다.

TV 미소지 신고

TV가 없다면 ‘미소지 신고’를 통해 말소해야 부과가 중단됩니다.
사진·방문 확인 등 증빙 절차가 필요하며 신고 후 확인이 완료돼야 효력이 발생합니다.

면제 대상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 등록된 시청각장애인 가구는 면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서류를 제출하고 승인되면 승인 월부터 면제가 적용됩니다.

환불 가능 여부

과오납이 발생했다면 환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구 주체에 따라 한전 또는 KBS 창구에서 환급이 진행됩니다.
최근 통합·분리 징수 변화가 많아 반드시 현재 납부 경로를 확인해야 합니다.

주의할 점

단순히 자동이체만 끊으면 미납이 발생해 가산금(3%)이 붙습니다.
반드시 해지와 함께 신고·면제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아래 버튼을 눌러 전기요금 자동이체 해지·변경 메뉴로 바로 이동하세요.

한전 자동이체 해지/변경

지금 확인하기

2025년 11월부터 전기요금 통합 고지가 재개될 예정입니다.
지금 상태를 점검해 불필요한 요금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세요.